계절에 따라 온통 축제의 강토가 되어 온지 오랜 세월을 맞고 있다. 우리나라는 오래 전부터 온 세상 형상의 변화에서나 바람을 소원할 때에 어김없이 축제의 성격으로 마음을 정리하여 왔다. 하늘에 대한 감사와 땅에서 살고 있는 사람에 대한 감사를 끊임없이 해온 우리 민족은 감사할 줄 아는 선민(善民)들이다. 지금도 우리는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고 있고, 그 연원은 오랜 세월 속에 녹아있다고 할 수 있다.

가을이 와서 인지 나라가 온통 축제의 물결에 출렁인다. 자고나면 축제가 생긴 것 같다. 어디에서 어떤 축제를 만끽할 것 인가 망설여 질 정도다.

요즘 벌어지고 있는 축제들의 성격이나 규모들을 살펴보노라면 당해 지역이 갖고 있는 특장이나 산물에 연유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서울은 주로 한강이나 청계천 같은 지리적 특장을 이용하고 있으며 서울만이 갖고 있는 궁궐이나 성곽을 테마로 삼기도 한다. 반면 같은 성격을 가지고 주도권 다툼을 벌이기도 한다. 홍길동을 가지고 대립하는가 하면, 고추나 오징어, 대게 등을 가지고 헤게모니 싸움을 한다. 봄이 되면 ‘봄꽃’을 가지고 그렇고, 가을이면 억새와 단풍으로 국민들을 유혹한다.

우리 해남은 어떠한가. 오래전부터 ‘대표 축제 발굴’이라는 현안을 걸어 두고 인력과 시간에 비용을 들였으나 별 신통한 효과를 보았다는 소식이 없는 것 같다. 명량해전 재현으로 전남도와 진도군이 연합해 이뤄내는 것 또한 내부적으로는 알력이 심하다 한다. 헤게모니가 잡히지 않기 때문이라 한다. 이런 축제를 왜 그토록 매달리는 걸까.

전라북도의 김제시는 ‘지평선 축제’로, 무주군에서는 ‘반딧불’로 가을 들판과 여름 하늘을 아름답게 물들인다. 이러한 자연 환경이라면 우리 해남은 무엇이 부족 한가. 산과 들과 바다가 어우러지는 거의 유일한 청정의 땅이 바로 우리 해남이 아니던가.

우리도 풍부한 물산과 그것을 토해내고 있는 우리의 아름다운 환경을 가지고 접근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 한다. 광활한 땅에서 생산되는 무공해의 쌀과 배추. 고구마만 가지고도 훌륭한 축제를 만들 수 있으며 그에 따른 부가적인 소득 창출도 가능하다고 본다. 쌀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생산 되면서도 ‘해남쌀밥’ 이 소개된 것을 본 일이 없다. 2차 가공은 하지 않고 산물 그대로인 상태로만 해결하려 들었다는 이야기다. 고구마와 배추 같은 상황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그리고 사람을 끌어 들여야 한다.

드라마를 통해서 더욱 유명해진 강원도의 ‘남이섬’에서 해남고구마 줄기로 재배해 수확한 고구마를 모닥불에 구워먹으며 가을밤을 통기타로 즐긴다는 모습을 상상해 보자. 이건 지금 연출되고 있는 인기 있는 프로그램의 실제 모습이다. ‘땅끝에서 온 김치’ 나 ‘대흥사에서 구워 먹는 고구마’ 울돌목에서 포식하는 ‘해남쌀밥’ 이 모든 것이 그저 상상으로만 끝날 수만은 없다.

서울에서는 그래도 가보고 싶은 곳은 땅끝이며, 먹고 싶은 것은 전라도 음식으로 평가 한다. 해남의 고구마와 배추는 그 명성을 자랑하여 온지 오래이나 명성에 비한 소득은 어떤가도 다시 점검해 보자.

이제부터라도 해남의 축제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과거의 사고에서 벗어나 쉽고 맛있게 접근하여 우리만의 축제를 전국의 축제로 이어 나갈 수 있게 해보자. 선거에 휘둘려 그것이 그것이라는 인상을 벗어야 만이 진정한 우리의 축제가 만들어 진다고 믿는다.
 

저작권자 © 해남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