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거의 매일 김치를 먹는다. 어쩌다 먹지 않을 때 도 있고 시간과 공간이 달라 먹지 못하는 경우도 종종 있게 되지만, 김치는 어떤 종류가 됐든 거의 매일 먹고 살고 있다.

미래의 모습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 같다. 이에 전 세계인들이 관심을 갖게 되고 급기야는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재 되어 보호와 사랑을 차지하기 에 이른 것이다. 이런 김치를 겨우살이에 대비해 담는 것을 ‘김장’이라 하는 데 해남에서는 일찍 이의 주재료인 배추에 대한 연구와 재배를 통해 전국최고의 배추 주산지가 됐다.

그러나 최근 들어서는 기후의 변화와 더불어 농가의 소득과 관련한 작목체계의 변동에 기인, 중부지역의 수도권 공략에 따라 많은 위협과 도전을 받고 있다.

충북 괴산군의 절임배추 생산현장에서 1달 동안 직접 경험한 체험기를 게재해 해남절임배추의 방향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지난 11월 5일부터 12월 4일까지 충북 괴산군 문법면 어느 마을에서 1개월 동안 기숙하면서 절임배추를 생산하는 일을 경험했다. 인력소개소에 의뢰해 오래전부터 절임배추를 생산하는 전문 농가를 택하게 됐다.

절임배추 생산자 단체 면 단위 협의회장을 지낸 베타랑 전문 농사꾼으로 FTA 반대 시위로 홍콩경찰에 연행되어 3일 동안 구금되었던 적도 있을 정도로 농민회 활동에 열성적인 60대 중반의 농민이었다.

농민회에서 뼈가 굵은 만큼 일의 진행을 용의주도하게 꿰뚫고 있어 인력을 운용하는데 있어서도 빈틈이 없는 아주 독한 사람으로 정평이 난 사람이라는 것은 한참 후에야 동네 사람에게서 들을 수 있었다.

작은 사람이 일을 낸다고 작달막한 키에 일이 베인 다부진 주인은 상당한 재력가로서 자수성가 했다고 한다. 부인 말로는 30여년전 시집왔을 때는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빈농에 대식구를 먹여야 했다는 전래 동화의 주인공이다. 부인은 이제 제법 자랑을 기술적으로 이야기하는 방법을 아는 것 같다.

물론 여기에서도 턱 없이 일손이 달린다. 시간적으로 김장철이 집중되다 보니 현지에서 인력을 공급 받는다는 생각을 안 갖는다. 타지의 인력소개소를 이용한다. 그러다 보니 노련한 일꾼들은 계절적으로 필요로 하는 지역을 선택해 1-2개월 동안의 짧은 시간에 목돈을 챙기는 기술이 있다고 한다.

생산 농가들도 임금이 높더라도 이들을 선호 하게 된다고 한다. 아침 7시께부터 거의 쉴 시간도 없이 오후 5시까지 절임배추를 만들어 낸다. 일당은 8-9만원, 물론 절임배추 생산현장에도 이미 중국의 조선족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 농가의 관련 장비들은 우선 1톤 트럭이 2대다. 모두가 4륜구동으로 웬만한 논밭을 드나드는 데에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다. 물론 승용차도 반 듯 하다.

비닐하우스로 된 120여평의 절임배추 작업장엔 대형 절임탱크(약 1000포기 용량)가 2조, 소형(약 500포기 용량) 1조, 이동식 수조 5개에 배추 절단기, 세척용 3단 수조가 갖춰져 있다.

지하 150m 암반수가 쉴 새 없이 엄청난 청정수로 넘친다. 소금은 신안군 도초농협과 계약에 의한 천일염이 일괄 공급 되고 있다. 이들은 신안 도초 소금임을 각종 안내문에 반드시 기재해 놓는다.

물빠짐용 대형 채반에 건져 올린 절임배추는 20분쯤 기다려 20kg들이 박스에 담는다. 박스 안쪽에는 두겹의 비닐이 들어 있는 데, 어김없이 당해 농협의 전화번호가 기재돼 있다. 물론 박스에 사용되는 테이프에도 농협마크와 전화번호가 적혀 있다. 이들 박스, 비닐, 테이프 등은 농협이 생산자들의 주문을 받아 일괄 공급한다고 한다.

여기서 하나의 소동이 일기도 한다. 생산자들이 자신의 생산자 표시를 철저히 하지만 절임배추 박스가 동일해 택배 기사들이 편의상 생산자 이름의 스티커를 떼어내고 아무거나 소비자에게 전달하고 가는 일이 종종 벌어져 소동이 일어날 때도 있다.
<다음호에 계속>
 

저작권자 © 해남군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